플라스틱 재활용? 쉽지가 않다?
우리가 사용하고 버린 다양한 종류의 플라스틱은 많은 부분이 수거되지 못하고 있는데요. 이건 분리수거를 얼마나 잘 하느냐의 문제도 있지만 기술적, 경제적 문제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실제로 수거된 플라스틱 중에서도 제대로 재활용되는 부분은 그리 크지 않다고 하는데요.
1. 플라스틱 재활용 현황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쓰레기 처리장으로 이송된 각종 쓰레기들은 재활용할 수 있는 쓰레기와 아닌 쓰레기로 나뉘는데, 이 과정에서 재활용되지 못하는 플라스틱들이 다시 분리됩니다. 그래서 소각 처리되면서 이산화탄소가 많이 발생하게 되는데요. 에너지로 재활용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는 어느 정도 납득이 가능한 수준이지만 소각처리 된다면 온전히 온실가스가 대량 배출되는 것이기 때문에 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2. 어떤 플라스틱이 수거되어도 재활용되지 못하는가? 한번 보겠습니다. 음식물 쓰레기가 묻은 플라스틱 – 음식물 세척과정이 번거롭고 비용이 발생해서 폐기 라벨이 붙어있는 음료수 병 – 성분이 섞여 폐기 일회용 플라스틱 커피 용기 – 업체마다 다른 플라스틱 소재 사용으로 눈으로 구분하기 어려워 폐기 쇠뚜껑을 사용한 플라스틱 병 – 뚜껑을 제대로 분리하지 않아 성분이 섞여 폐기 요구르트 – 뚜껑은 알루미늄 성분이기 때문에 제대로 분리하지 않을 경우 폐기
이처럼 제대로 재활용되지 못하는 제품들이 많습니다. 가령 일회용 플라스틱 커피 용기 소재는 PET, PS(폴리스티렌), PVC(폴리염화비닐) 등 많은 종류가 섞여있기 때문에 모두 폐기한다고 하는데요.
3. 폐 플라스틱의 열분해 및 상품화 HDPE, PVC and PET Pellet 같은 작은 알갱이 형태(pellet)로 가공된 폐플라스틱은 열분해하여 가스, 기름, 코크스 등의 상품으로 다시 생산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플라스틱을 단독으로 열분해하기에는 엔지니어 관점에서 많은 문제가 발생합니다. 고체 상태로는 유동성도 없고 기체가 되어 다 날아가 버리기 때문인데요. 따라서 다른 탄소제품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첨가하는 방식이 진입장벽도 낮아 쉽게 적용할 수 있어보이는 방법이 아닐까 생각이 든다고 전문가들이 말한다고 합니다.
우리 아세즈 와오도 이산화탄소를 줄이기 위한 행보를 걷고 있고, no more gpgp를 통해서 플라스틱 수거에도 앞장서고 있는데요!! 재활용이 되지 않는 것들이 많은 것은 조금 마음이 아픕니다. 그래도 우리가 하는 모든 활동들이 이산화탄소를 줄이고, 지구를 살릴 것이라 확신합니다.! 아세즈 와오 활동에 참여해보시면 어떨까요? 아세즈 와오~!!